eval() 함수를 활용해봅시다.

문제 자체는 비교적 간단합니다.
‘P=NP’가 주어졌을 때는 ‘skipped’를 출력하고,
그 외의 경우에는 주어진 식을 계산한 값을 출력하면 됩니다.
이때, 보통의 경우에는 +를 기준으로 split하여 두 변수 a,b를 더할 수도 있겠지만
eval() 함수를 사용하면 한 줄로 바로 계산이 가능합니다.

eval() 함수는 매개변수로 ‘식’을 ‘문자열’로 입력받아서 실행합니다.
여기서 식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사칙연산이 가능한 ‘식(expression)’을 말합니다.
(ex> ‘1+1’)
말 그대로, 식을 문자열로 입력해주면 그 결과값을 그대로 반환해주는 함수입니다.

따라서, if문을 통해 조건을 나누고 eval() 함수로 계산하면 쉽게 해결됩니다.

문제 : 백준 5026 - 박사 과정